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K패스는 매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대상자별 차등하여 익월 환급을 해주는 제도입니다.

    (일반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

    고물가 시대 평소 버스나 지하철을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은 끝까지 주목해 주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알뜰교통카드 서비스 중단

     

    도보나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하던 알뜰교통카드는 4월 30일부로 폐지됩니다.

    알뜰교통카드 폐지

     

    K-패스 5월 조기 시행

     

    대중교통비를 최대 53%까지 환급해 주는 K-패스가 5월 1일부터 조기 시행됩니다.

    K-패스는 연간 기준 최대 44만 원까지 교통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제도입니다.

    또한, 사용하시는 카드사에 따른 추가 혜택이 있으니 혜택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
    제도가 시행되기 전까지 알뜰교통카드를 K-패스로 회원 전환해야 합니다. 

    전환을 미리 완료하지 않은 이용자는 회원 전환을 완료하기 전까지 K-패스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
     

    구 분 교통비 최대 절감액
    일반인 (20%) 14,000원
    청년층 (30%) 21,000원
    저소득층 (53%) 37,000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K-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차이점

     

    K-패스는 전국 229곳의 지자체 중 189곳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 (GTX-A 사용가능)

    반면 기후동행 카드는 서울시에서 운영되는 지하철과 버스,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따라서 자신이 타는 대중교통의 지역이 어딘지를 확인하신 후 제도를 이용하시면 좋습니다.

     

    K-패스 VS 기후동행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